2014.01.14 14:54
안녕하세요? 저는 곧 수험생으로 전직하는 고2입니다.
작년 초에 공대에 진학하기로 마음먹으면서, 제 나름대로 조사를 해본 결과 공학은 분야가 정말 많더라구요 ㅠㅠ
결국 수 많은 고민 끝에 의용생체공학을 전공을 결심하고 지금까지 전기정보공학부에 진학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들어 드는 생각이 과연 전기정보를 대학에서 전공한 뒤에 대학원에 가서 의용공학을 하는 것은
의예 또는 화공이나 기계공학을 전공한 사람들보다 다소 불리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어느 학과로 진학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질문 게시판 이용안내 공지 | hands | 2019.06.03 | 3750 |
2701 | 서울대 프론티어 자소서 관련입니다. [1] | DN_!QA | 2014.06.20 | 5222 |
2700 |
신청서를 작성했는데요...
[1] ![]() | 주영 | 2014.06.20 | 1 |
2699 | 프런티어 캠프 자소서 관련 질문입니다. [1] | kyj2016 | 2014.06.19 | 4564 |
2698 | 내신 성적 기재 [1] | 관악16 | 2014.06.19 | 4939 |
2697 | 학과관련 질문하고싶습니다. [1] | 뇌얼 | 2014.06.17 | 5054 |
2696 | 프론티어 공학캠프 자소서 질문입니다. [1] | 다람 | 2014.06.16 | 5143 |
2695 | 공학프론티어캠프 자소서에 기재 [1] | yuy1127 | 2014.06.15 | 5670 |
2694 | 프론티어 캠프 질문이요~~ [1] | 동의보감 | 2014.06.14 | 4540 |
2693 | 서울대 공학 프런티어 캠프 [2] | 우주선 | 2014.06.09 | 11569 |
2692 | 재료공학과 관련 질문이요~ [2] | 정보경 | 2014.06.06 | 4294 |
2691 | 공대 [1] | 성혜선 | 2014.06.04 | 4290 |
2690 |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1] ![]() | 최건축 | 2014.06.04 | 123 |
2689 | 에너지자원공학과에 대해 궁금해요. [1] | 르브론 | 2014.05.29 | 4868 |
2688 | 컴퓽터 공학과 [3] | x40807 | 2014.04.30 | 5079 |
2687 | 기계항공공학부 질문 [1] | 조두 | 2014.03.30 | 5382 |
2686 | 화학생물공학부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macroevolution | 2014.03.01 | 5798 |
2685 | 학과선택질문입니다! [1] | 시냇돌 | 2014.02.10 | 5049 |
2684 | 질문이있습니다 [3] | sjson97 | 2014.02.05 | 4742 |
2683 | 질문있습니다. [2] | xorms1996@naver.com | 2014.02.02 | 4816 |
2682 | 캠프 질문, 과탐 질문이요. [1] | 관악16 | 2014.02.01 | 4831 |
그래서 한양대 홈페이지를 우선적으로 참고하시라고 링크를 드립니다.
http://bme.hanyang.ac.kr/
이 곳에 교수님들이 어떤 학부(과)과정을 거치셨는지 나오는 데 학생이 말씀하신 것처럼 전기과도, 의예, 기계도 있습니다.
(화공은 정확하게 어떤 분야가 의공학과 연계가 있는지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ㅎㅎ;)
물론, 과거와 미래의 차이는 있겠지만 우리나라에서 현재 의공학을 연구하고 계신 교수님들의 걸어오신 길(?)을 보면 그 시작의 선택으로 인한 불리함은 학생이 우려하는 것 만큼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의공학을 함에 있어서도 훗날 학생이 심화적으로 원하는 분야가 기계적인 시스템의 구현인지, 혹은 신경과 센서를 이어주는 회로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그러한 것들을 구현할 수 있는 재료에 관한 것인지 등 더 자세하고 심도 깊은 분야들이 무궁무진할 것 같다고 판단됩니다.
의공학 분야가 응용분야인만큼 단일 학문의 지식 보다는 다수 공학분야가 접목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분야라고 생각하기에
저 개인적으로는 시작의 선택으로 인한 유불리가 크지 않다고 판단이 됩니다.
p.s) 시간이 있다면 앞서 드린 링크에 나온 교수님들의 연구실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교수님들의 메일주소 같은 것들이 있을 것입니다.
교수님들 께서 방학 중이라도 워낙 업무가 많으셔서 답변을 받기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여러 교수님들 께 메일로 질문해본다면 혹여 한 두 통이라도 답메일을 받아 더 정확한 대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