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의 교육과정이 단순하게 엔지니어의 양성에만 집중되어 있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전공 기술분야의 전문가인 엔지니어를 키우면서 사회, 경제적인 지식과 내일을 바라보는
폭넓은식견을 갖게 하여, 우리 사회의 내일을 이끌어갈 지도자로 키우는 것이
서울대 공대가 추구하는 목표입니다.
로봇공학에 큰 연관은 없지만 답변드리자면, 프로그래밍을 미리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공과대학 내에 개설되어있는 커리큘럼을 따라가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미리 배움에 나쁠 것은 없겠죠! 기본적인 학교공부를 따라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공부는 그냥 인터넷이나 시중의 책을 찾아 공부하는게... 지금부터 준비할 수 있는 것은 일단 학과 공부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입니다. 공부와 생활의 기본 소양이 되는 학과공부를 충실히 이행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관계되는 부분을 더 파고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공부를 하면서 로봇의 운동에 관련되는 동역학적 관점을 파고드는 등의 일이 있겠죠? 또, 고등학교 내에서 로봇에 관련된 동아리 등에서 활동하고 관심과 공부를 꾸준히 이어가는 일이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한 책을 읽으며 역량을 키워가는 일도 있겠네요. 관련 도서는 인터넷에 검색해보세요! 학생의 수준이나 로봇공학 내의 관심도를 몰라 구체적인 책은 알려드릴 수 없지만 구글이나 네이버를 통해 검색하며 공부하다보면 답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식인의 기본적인 소양은 스스로 찾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인 질문은 이곳에 댓글 달아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지금부터 준비할 수 있는 것은 일단 학과 공부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입니다. 공부와 생활의 기본 소양이 되는 학과공부를 충실히 이행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관계되는 부분을 더 파고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공부를 하면서 로봇의 운동에 관련되는 동역학적 관점을 파고드는 등의 일이 있겠죠? 또, 고등학교 내에서 로봇에 관련된 동아리 등에서 활동하고 관심과 공부를 꾸준히 이어가는 일이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한 책을 읽으며 역량을 키워가는 일도 있겠네요.
관련 도서는 인터넷에 검색해보세요! 학생의 수준이나 로봇공학 내의 관심도를 몰라 구체적인 책은 알려드릴 수 없지만 구글이나 네이버를 통해 검색하며 공부하다보면 답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식인의 기본적인 소양은 스스로 찾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인 질문은 이곳에 댓글 달아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