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4.03 09:30
시간 날 때마다 풀밭을 돌아다닐 거라고 생각하지만 다행히도 요즘은 인터넷이나 미디어가 많아요. 융합연구를 많이 하기 때문에 쉽게 말해 재료들이 주변에 널려 있어요. 생물학 교수님, 동물학 교수님 등 여쭤보면 무궁무진한 소재가 있습니다. 여러분이 궁금해 하는 것은 인터넷에 찾아보면 많아요. 다양한 루트로 검색하고 많은 학생들이 찾아보고 같이 풀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국어가 다른 과목에 비해 성적이 크게 오르지 않더군요. 공부도 하고 책도 많이 읽어서 극복하려고 했는데 쉽지 않더라고요. 극복하려고 노력은 많이 했죠. 제가 승부욕이 강합니다. 어릴 적 동네 구슬대장이었어요. 지면 잠이 안 왔어요. 저는 실패를 하면 다시 도전했어요. 도전하고 실패도 많이 하다보니까 실패도 성공의 일부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시행착오를 많이 해봐야 해요. 제가 성취한 경험이 10개 있다면 적어도 2배의 실패 경험이 있어요. 논문도 거절된 경우가 훨씬 많아요. 사람들은 성공한 것을 보지만 그 이면에는 어려움이 있어요. 실패를 2~3배 해야 가치 있는 com경험을 할 수 있어요. 그런 경험이 차곡차곡 쌓이다 보니까 자신감이 많이 생겼죠. 지금은 당장 실패하더라도 언젠가 될 거라는 마음으로 연구해요.
중요합니다. 사람들이 저를 보면 안 그럴 것 같다고 하지만 저는 좀 집요한 성격이에요. 제가 석사과정에서 처음 논문을 쓰는데 어떤 문제가 도무지 풀리지 않아서 며칠 밤을 새워가며 고민했죠. 계속 파고드니까 불현듯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그 희열을 어떻게 표현할 수가 없어요. 이런 집요한 성격이 필요합니다. 절대로 단번에 풀리는 문제가 없어요. 실패를 거듭해야 합니다. 시행착오를 거쳐서 뭔가 찾아내는 그런 경험을 많이 했어요. 딱정벌레를 모사한 다기능 센서 연구도 처음부터 곤충을 하겠다고 생각한 게 아니라 우연히 다른 논문을 보고 촉각센서에 접목하면 되겠다고 해서 연구한 거예요. 처음엔 학생이 재미로 해본 거예요. 그렇게 연구한 것이 유명한 학술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실렸죠. 우연이 아니에요. 계속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해봐야 그런 기회가 오는 것입니다. 아무 노력도 않고는 오지 않아요. 여러분도 이제 무지막지하게 실패를 많이 할 거예요. 전 대학도 떨어져 봤어요. 방황도 하고요. 개의치 말고 열심히 하세요. 이런 경험이 차곡차곡 쌓이다 보니까 지금 당장은 안 돼도 결국 될 거라는 자신감이 많이 생겼어요.
여러분이 예상하시듯이 기본적으로 수학과 물리 실력은 기본입니다. 학교에서 기본적인 과정을 배우는데 기계공학이나 응용학문을 하려면 조금 부담스럽더라도 심화과정을 하고 들어오면 시간을 아낄 수 있어요.
그리고 공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생각합니다. 말 잘하는 게 아니라 ‘나의 지식을 전달하는 능력’이 굉장히 중요하죠. 요즘과 같은 글로벌 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반드시 가져야 할 능력입니다. 자신의 논리를 많은 사람들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중요성을 생각해서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좋죠.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178 | 최영준 전략기획팀장 | lee496 | 2013.05.09 | 1779 |
2177 |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 lee496 | 2013.05.09 | 1844 |
2176 |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 | lee496 | 2017.04.05 | 1846 |
2175 | 빅 데이터와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 (공개) | lee496 | 2014.04.03 | 1861 |
2174 | 공대생에 대한 편견 3 | lee496 | 2013.05.14 | 1883 |
2173 | “기계를 만들 때 생명체에서 가장 큰 영감을 얻는다” | lee496 | 2017.04.05 | 1909 |
2172 |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 | lee496 | 2013.05.09 | 1942 |
2171 | 공대생에 대한 편견 4 | lee496 | 2013.05.14 | 1949 |
2170 |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 lee496 | 2017.04.05 | 1982 |
2169 | 황농문 재료공학부 교수 | lee496 | 2013.05.09 | 2005 |
» |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 lee496 | 2014.04.03 | 2073 |
2167 | 공대생에 대한 편견 5 | lee496 | 2013.05.14 | 2075 |
2166 |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 | lee496 | 2014.04.03 | 2081 |
2165 | 이성윤 재료공학부 박사 | lee496 | 2013.05.09 | 2095 |
2164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 lee496 | 2015.04.09 | 2096 |
2163 | 정밀공학 | lee496 | 2013.05.09 | 2140 |
2162 | 김희수 SK에너지 연구소 연구원 | lee496 | 2013.05.09 | 2152 |
2161 |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 lee496 | 2014.04.03 | 2154 |
2160 | 재료공학 | lee496 | 2013.05.09 | 2179 |
2159 | lee496 | 2004.08.19 | 2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