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14 13:54
안녕하세요??
서울공대를 가기 위해 수능을 한 번 더 치르게된 재수생입니다.
저의 인생 최종목표는 아이언맨과 같은 첨단과학기술복합체를 만드는 것입니다.
물론 그것이 혼자만의 힘으로는 불가능하고, 실제로 실현가능성도 ....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기술전문가들이 힘을 합해서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각설하고,
저는 영화 아이언맨에 등장하는 여러 첨단기술들 중
"AI(인공지능, 자비스처럼)", "딥러닝(알파고), "3D 홀로그램(디지털 홀로그래픽 기술)", 가상현실기술, 투명디스플레이와
같은 쪽으로 연구를 하고 싶고, 그런 기술들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또한 대학교수가 되어 다양한 미래인재들의 성장을 돕고 싶습니다.
위의 기술들과 관련된 공부를 하고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학과를 진학해야하나요? (전기정보공학부가 맞나요??)
또 저런 공부를 하려면 적어도 대학원 진학을 해야된다는데, 제대로 알고 있는것인가요??
위의 분야들과 관련된 학과나 진로를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검색만으로는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너무 없더라고요 ㅠㅠ
정말 아이언맨의 토니 스타크가 사용하는 첨단과학기술들을 상용화시키고 싶습니다.
아직 대학을 안가봐서, 현실에 부딪혀 보지 못해서 어쩌면 선배님이 읽기에 허상만 가득한 꿈이라고 느껴지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빨리 대학가서 더 넓고 깊은 공부를 하고 싶네요.
내년에 서울대에서 뵙겠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질문 게시판 이용안내 공지 | hands | 2019.06.03 | 4473 |
2841 | 화생공에 진학하고 싶은 학생입니다. | 굿 | 2016.08.22 | 4913 |
» | 학과 선택과 관련하여 [1] | 설공전정 | 2016.08.14 | 5364 |
2839 | 컴퓨터개론은 어떤 교재로 공부하게 되나요? [1] | 버터바디 | 2016.08.11 | 7147 |
2838 | 성적때문에 소신지원을 할지 고민중인데 도와주세요 ㅠㅠ | 차무협 | 2016.08.03 | 4949 |
2837 | 서울대 공대 관련 질문 [1] | 전기정보공학부17학번 | 2016.07.24 | 6008 |
2836 | 선배님들은 공부가 정말 하고싶어서 하시나요 [1] | 최성규 | 2016.07.23 | 5671 |
2835 | 지원 가능일을 2차와 3차시로 변경부탁드려요^^ | 스스로쟁이똘똘순 | 2016.07.06 | 3638 |
2834 | 혹시 3차시만 가능으로 수정 가능한지요. | 임은상 | 2016.07.04 | 3727 |
2833 | 1차시만 지원으로 수정 가능한가요 [2] | 삼룡의일룡 | 2016.07.01 | 5334 |
2832 | 가상현실관련 | Again | 2016.06.27 | 3860 |
2831 | 공학 프런티어 캠프 신청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 | 김민영 | 2016.06.26 | 5638 |
2830 | 공학 프런티어 관련 문의 [1] | carami | 2016.06.24 | 5731 |
2829 |
공학프런티어 캠프관련 문의
![]() | 날다람쥐 | 2016.06.23 | 1 |
2828 |
공학 프런티어 캠프 문의
[1] ![]() | yms18 | 2016.06.22 | 1 |
2827 | 공학 프런티어 캠프 자소서 질문 [1] | 상산도형 | 2016.06.19 | 5850 |
2826 | 공대 프런티어 캠프 [1] | 허정웅 | 2016.06.19 | 5382 |
2825 |
공학 프런티어 캠프 관련 질문입니다.
[2] ![]() | 징징 | 2016.06.19 | 2 |
2824 |
공학 프런티어 캠프 문의드립니다
[1] ![]() | PyGDi | 2016.06.18 | 2 |
2823 |
공학프론티어캠프 관련 질문이요.
[1] ![]() | 조민국 | 2016.06.18 | 1 |
2822 | 산업공학과 진로/필독서 | Hyel | 2016.06.07 | 5718 |
대학교에 입학한 이후에 공부를 하다보면 입학 전 혹은 저학년 때 작은 분야라고 생각했던 분야가 막상 공부해보면 그 깊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깊은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해당 학부가 본인이 공부하고 싶은 곳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해당 학과 홈페이지에 접속해 교수님들 연구실 홈페이지에 들어가 어떠한 연구를 수행하는지 혹은 어떠한 연구를 수행했던 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됩니다.
대학교수를 목표로 공부하신다면 석사+박사과정은 필히 밟으셔야 합니다.
더불어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박사과정 이후에 박사 후 과정으로 연구원생활을 한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본인 분야의 마스터가 되어야 다른 인재들을 육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입학당시에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보면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것들을 개발하고 싶다 기술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것들을 현실화 시켜나가는 것이 또한 공과대학생의 역할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