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05 10:58
안녕하세요.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해 재수를 선택한 학생입니다. 저는 어렸을때부터 로봇 로켓 공학자와 관련분야 기업인이 되는 것이 꿈이었는데 몇가지 질문사항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1. 기계항공공학부에 기계공학과와 우주항공공학과가 있던데 로봇과 로켓공학자를 꿈꾸는 저로서는 참 난감합니다. 두 과는 수업과목과 내용에서 많은 차이가 있나요?
2. 만약에 열심히 해서 서울대에 온다면 기계공학과에 다니고 싶습니다. 그런데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우주항공공학과 선택이 가능한가요?
3. 교수님들 수업은 어떤가요? 학생들 잘 챙겨주시나요? 저는 대학에서 만큼은 시험을 치기위한 공부보다는 학문에 대한 깊은 탐구를 하고 싶어요. 그런데 서울대의 수업마저 고교내신식 암기과 문제풀이식 점수따기 공부를 해야만 좋은 학점을 딸 수 있다고 들어서요. 수업을 들어보신 선배님들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4. 서울대는 벤처창업에 대한 지원을 해주는 시스템이 있나요? 대학때 소프트웨어 관련 창업을 하고 싶어서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질문 게시판 이용안내 공지 | hands | 2019.06.03 | 3834 |
2866 | 공학프론티어 캠프 | 김동근ㄴㄴㄴㄴ | 2017.06.21 | 6289 |
2865 | 공학프런티어 캠프 [1] | human350 | 2017.06.18 | 6996 |
2864 | 공학 프런티어 캠프 질문입니다~ [1] | 임형주 | 2017.06.16 | 7255 |
2863 |
전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 | 무소 | 2017.06.15 | 10 |
2862 |
공학캠프 질문
![]() | growth | 2017.06.12 | 4 |
2861 |
복수전공에 관하여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 ![]() | 민스 | 2017.06.12 | 8 |
2860 | 공학 프론티어 관련 질문 있습니다 [2] | cobble | 2017.06.08 | 5411 |
2859 |
신청날짜 질문
[1] ![]() | 지니냥이 | 2017.06.07 | 1 |
2858 |
공학 프런티어 캠프
[2] ![]() | 최고 | 2017.06.05 | 2 |
2857 | 공학 프론티어 캠프 질문입니다 [1] | 공 | 2017.06.04 | 5267 |
2856 | 공학 프론티어 캠프 질문 [1] | katykim | 2017.06.02 | 5052 |
» | 기계항공공학부 질문 [1] | JulianPark | 2017.03.05 | 6300 |
2854 | 기계공학과 진학에 관하여 [1] | bunnyprince | 2017.02.27 | 7789 |
2853 |
공대 전반 질문이요!!
[1] ![]() | aaaa | 2017.01.30 | 6 |
2852 |
기계항공공학부와 전기정보공학부
[1] ![]() | 강한물리 | 2017.01.21 | 2 |
2851 |
산업공학과 관련 질문
[1] ![]() | 샤공 | 2017.01.13 | 2 |
2850 | 컴퓨터공학하고 전기정보공학의 차이점? | ㅇㅇㄴ | 2017.01.13 | 4572 |
2849 | 컴공 진학과 게임개발자(진로-전공 적합성)(마음 편하게 '도전'하고 싶습니다.) [1] | 푸름 | 2017.01.12 | 6742 |
2848 |
재료공학부
[1] ![]() | UZ0 | 2016.12.18 | 9 |
2847 | 공학 프론티어 캠프 자소서 문의 드립니다. [1] | 준콜 | 2016.12.14 | 6385 |
교수님들 마다 시험 내시는 스타일은 각양각색입니다. 문제은행 풀 내에서 별 차이 계속 내시는 분들도 있고 매 시험마다 직접 내시는 분도 있으며 시험이 없고 토론이나 발표 등의 형식으로 시험을 대신하는 경우 등도 많습니다. 더군다나 기계항공공학부와 같이 교수님들이 매우 많은 곳이라면 그 교수님별로 시험 스타일도 각양각색일 것입니다.
그런데 제 생각에는 고교내신식 암기와 문제풀이식 점수따기 공부를 하면 성적이 잘 나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단 대학교 내에서 뿐 아니라 무슨 시험이던 간에 해당 방식으로 시험을 대비한다면 못볼 시험이 없을 것입니다. 반대로 수업 내에서 많은 고민을 하였고 해당 과목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고민이 이루어졌다면 무리 없이 시험볼 수 있는 것 역시 대학교 시험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대학교와 같이 본인이 얼마나 이해하며 학습하였는지 스스로가 체크하지 않으면 아무도 점검해줄 수 없는 곳에서는 시험을 잘 보고도 해당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별로 깊지 않고 성적만 좋은 상황이 대학교에서는 올 수 있습니다. 그 뒤에 그에 대한 결과는 취업한 이후이거나, 대학원에 입학한 경우 이던 간에 본인이 책임져야 하는 상황으로 귀결되게 됩니다.
4의 경우에는 제가 해당 부분에 큰 관심이 없었기에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창의공학관련 수업이 2016년 정도 부터 개설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당 수업을 2학기 정도 들으면서 아이템 개발 등을 실질적으로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불어 학내에 창업 혹은 벤처 관련 동아리들이 활동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