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9 22:24
안녕하세요?? 지금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저는 신재생 에너지와 반도체에 관심이 있는데요.. 그래서 재료공학과랑 에너지 공학과 중에서 어떤 과를 선택해야 할 지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 어떤 것이 좋을지 비교해서 알려주실 수 있나요..? 각 과에서 공부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이고 졸업 후에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각각 과탐을 어떤 것을 골라야 하는지도 알려주세요....
질문 많아서 죄송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질문 게시판 이용안내 공지 | hands | 2019.06.03 | 3860 |
2827 | 공학 프런티어 캠프 자소서 질문 [1] | 상산도형 | 2016.06.19 | 5816 |
2826 | 공대 프런티어 캠프 [1] | 허정웅 | 2016.06.19 | 5359 |
2825 |
공학 프런티어 캠프 관련 질문입니다.
[2] ![]() | 징징 | 2016.06.19 | 2 |
2824 |
공학 프런티어 캠프 문의드립니다
[1] ![]() | PyGDi | 2016.06.18 | 2 |
2823 |
공학프론티어캠프 관련 질문이요.
[1] ![]() | 조민국 | 2016.06.18 | 1 |
2822 | 산업공학과 진로/필독서 | Hyel | 2016.06.07 | 5662 |
2821 |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1] ![]() | 오브더소울 | 2016.06.06 | 2 |
2820 |
공학프론티어 캠프 문의합니다.
[1] ![]() | 메시 | 2016.06.05 | 2 |
2819 |
공학 프론티어 캠프 질문입니다
[1] ![]() | 신다윤 | 2016.06.01 | 2 |
2818 |
공학 프런티어 캠프 관련 질문
[2] ![]() | 민건우 | 2016.05.31 | 2 |
2817 | 너무 늦은걸까요.. [1] | 이과생 | 2016.05.19 | 5345 |
2816 | 전공선택이 고민됩니다ㅠㅠ | 문희상 | 2016.04.30 | 3713 |
2815 | 컴퓨터 공학과에 진학하고싶은 고1입니다ㅠㅠㅠ.. [2] | 쥬블리 | 2016.04.30 | 7929 |
2814 | 기계항공공학부 모집 | carton1234 | 2016.04.29 | 4215 |
2813 |
학과 선택 고민
[1] ![]() | tinatian | 2016.03.20 | 4 |
2812 | 3D 스캐너, 3D 프린터 연구와 개발에 들어가는 기술을 배우려면 [1] | 문과대학생 | 2016.03.14 | 5605 |
2811 |
공대에서 도움되는 컴퓨터관련프로그램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1] ![]() | 길게보자 | 2016.02.26 | 2 |
2810 | 재료공학부 [1] | 1예지 | 2016.02.19 | 5711 |
2809 |
공학 프론티어 캠프 문의합니다
![]() | 딸엄마 | 2016.02.18 | 3 |
2808 | 과탐선택질문이요... | 유지 | 2016.02.17 | 3801 |
신재생 에너지(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와 반도체 분야 모두 재료공학부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
다른 학부/과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다루기는 하지만(예를 들어, 반도체는 전기정보공학부에서도 다루지요), 차이점은 같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재료공학부에서는 어떤 재료를 어떻게 만들어서 어디에 적용하면 가장 성능과 효율이 좋아질지와 같은 고민들을 하고, 만든 제품이나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이것을 재료/소재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노력합니다.
재료공학부의 학부 과정에서는 이 고민을 시작할 수 있게끔 하는 기초 과목들을 많이 배웁니다. 4년간 대부분 물리나 화학에 기반한 이론과 원리를 배우고, 그동안 배운 것들이 실제 공학적 문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간단한 연습을 합니다. 그리고 대학원 과정에 진학했을 때 실제 문제에 본격적으로 적용을 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재료공학부의 기초 전공 과목엔 물리화학(화학 변화의 물리적인 설명을 다룹니다), 유기화학(섬유와 같은 유기물질들에 대한 화학), 고체물리(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고체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 재료의 전자기적 성질, 재료역학 등이 있습니다.
학부, 대학원 모두 졸업 후에는 관련 기업(철강, 반도체, 섬유 등)이나 학교, 연구소 등에서 마찬가지로 재료/소재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주로 합니다. 관심 있으신 대상이 뚜렷하니, 재료공학부도 괜찮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