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19 20:15
추상적으로 화학과 생명을 합한 분야다 이런거 말고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연구실 검색서비스를 해봤는데 연구실 홈페이지가 거의 다 웹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오네요..
연구하고 있는 부분같은 거에대해 자세하게 설명해주실 수 없나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질문 게시판 이용안내 공지 | hands | 2019.06.03 | 3821 |
2805 |
기계항공공학부를 졸업하면...
![]() | hamagod | 2016.02.02 | 3 |
2804 | 기계항공공학부에 대해... | 비상하라 | 2016.01.21 | 5807 |
2803 |
질문드립니다
[2] ![]() | 홍기석 | 2015.12.29 | 27 |
2802 |
공학 프런티어 캠프 질문입니다
[1] ![]() | 이연주 | 2015.12.27 | 2 |
2801 |
공대 프론티어 캠프 관련 질문입니다.
[1] ![]() | 스피릿건 | 2015.12.21 | 3 |
2800 | 제료공학과관련이요... [1] | 축구돌이 | 2015.12.21 | 5094 |
2799 |
2018학년도에 재료공학과(신소재공학쪽)으로 진학하고 싶습니다.
[1] ![]() | c세빈 | 2015.11.30 | 8 |
2798 | 전공과 과탐선택관련 질문 [1] | 백두산 | 2015.11.22 | 5771 |
2797 | 2017학년도 건축학과 정시관련.. [1] | 혁매 | 2015.11.18 | 5224 |
2796 | 수능 과목 질문있습니다... [1] | 므은 | 2015.10.28 | 5554 |
2795 | 5년후에 이학교에 입학하고 싶은 중1입니다 [1] | 유망주 | 2015.09.20 | 5559 |
2794 | 형님누님들은 외로움 어떻게 버티세요? 저는 자퇴생인데 너무 외로워요 [1] | 최성규 | 2015.07.27 | 6460 |
2793 | 과학탐구과목 질문입니다. [1] | 은강 | 2015.07.23 | 5936 |
2792 | 대학탐방 가고 싶습니다 | 해리우스 | 2015.07.21 | 4416 |
» | 화학생명공학부에서 무슨 연구를 하는 지 알 수 있을까요? [1] | ㅅㅇㄷㅎㅅㄱㅇㅇㅎㅂ | 2015.07.19 | 7156 |
2790 | 구술면접 관련 질문 | PrimarySnu | 2015.07.17 | 4261 |
2789 |
컴퓨터 공학과
![]() | x40807 | 2015.07.15 | 1 |
2788 | 캠프 신청서 확인 | song10 | 2015.06.28 | 4369 |
2787 | 공학 프런티어 캠프 신청했는데... | 대천무쇠다리 | 2015.06.26 | 5035 |
2786 | 모의고사 점수를 잘못 기입했습니다 | 나현 | 2015.06.24 | 3945 |
저는 현재 화학생물공학부 석박통합과정에 재학 중입니다.
1. 무엇을 배우는지에 대해
포괄적으로 무엇을 배우는 지에 대해서는 (http://cbe.snu.ac.kr/index.php?mid=Reference) 링크로 들어가보면 확인할 수 있어요.
다양한 분야가 있는데 여기에 있는 분야가 대학원에 진입할 때 나뉘어지는 분야와 거의 일치해요. 대학생 때는 각 분야들에 대한 기초 과정을 공통으로 배우다가 대학원 때는 한 분야를 선택해서 진입하는 거예요.
( http://cbe.snu.ac.kr/index.php?mid=Course_14) 대학교 때 실제 배우는 과목 이름은 이 링크를 참조하세요~
원래 화학공학부였는데 생물을 최근에 추가한 거라서 화학생물공학부이지만 생물의 비중은 적어요. 실제로 생물을 많이 배우는 줄 알고 입학했다가 실망하는 경우도 있어요.
14학번 교과과정은 링크된 페이지와 같은데, 그 중 <전공교과과정(2011학번 표준이수형태)> 표를 보면, 각 학년 학기마다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이 적혀있고, 대체로 4:1(화학공정:생물)의 비율로 배워요.
하지만, 표에 제시된 생물 과목(공학생물, 응용 생화학, 생물화학공학, 분자생물공학, 환경생물공학)을 통해 (난 생물 관련 과목을 모두 이수!) 생명공학의 기초에서부터 심화과정까지 모두 배우기에 충분하고, 더 관심있는 세부적인 분야에 대해서는 타과 전공 수업 (세포 생물학, 대사 생화학, 면역학 등등) 을 듣거나, 책을 사서 자습하며 교수님께 여쭤보는 등 충분히 공부할 수 있어요~!
과목명이 많아서 헷갈릴텐데 윗부분 표는 넘기고 밑부분 표를 보면 대충 무엇을 배우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즉, 공과대학에서 유일하게 생명공학과 관련한 연구를 할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참고로,
1학년
물리 , 화학, 생물, 통계 중에서 2과목 선택, 대학영어, 대학국어, 수학 및 연습, 화학생물공학 입문, 컴퓨터의 원리
물리 , 화학, 생물은 고등학교 물2, 생2, 화2 정도 수준에 더 심화된 정도로 배우는거 / 대학 영어랑 국어는 이렇다 할 점이 없고 / 수학 및 연습에서는 미적분학에 대해 깊게 배워요. 1학기에는 미분, 2학기에는 적분을 주로 배우는데, 수2의 미적분이랑은 조금 달라서 새롭다 느낄 수 있어요. / 컴퓨터의 원리에서는 매트랩이라는 공학용 계산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다루는 법을 배워요.
2학년
공학 수학, 공학 생물, 물리화학, 유기화학, 공학전산의 기초 or 분석화학
공학수학은 수학및 연습을 바탕으로 해서 미분 방정식을 배우고, 실생활의 모델을 수학적 식으로 풀 때 미분 방정식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배우는 거예요. / 공학생물은 생명공학기술이라고 생물에서 배우는 부분에 대해 배우는건데, 줄기세포나 클로닝방법 이런 기술에 대해 배우고, / 물리화학은 물리중에 화학과 관련된 거 배우는데 이를테면 화학전지라던지, 핵융합 같은 것들? 유기화학은 화학1에 나오는 작용기, 고분자 이런거를 심화해서 배워요. / 공학전산의 기초는 실제 공장에서 쓰일 수 있는 유체의 흐름 제어를 주로 배우고, / 분석화학은 화학을 엑셀이나 매트랩같은 거로 분석해서 주로 실험 결과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를 배우는건데 두 개중에 하나 선택해서 들으면 됩니다.
3학년 부터는 4학년 전선에서도 선택해서 학기중에 들을 수 있어 선택할 수가 있는 게 많으니깐 적성에 맞는걸로 고르면 되겠죠?
그리고 3-2에 있는 열 및 물질전달은 화생공의 꽃인 전공.. 전필중에 가장 어렵고 심오해요 ㅜㅜ
만약 대학원에 진학한다면, 대학원 때는 이런 과목들을.. 아직 안들어봐서 모르겠지만 분야별로 잘 나뉘어 있어서 링크 첨부!
http://cbe.snu.ac.kr/index.php?mid=Graduate12
2. 졸업 후 진로 다양성!
화학생물공학부는 매우 가능성이 다양한 학부라고 생각해요! 어떤것을 목표로 하든지, 취직이든 연구든 다 뻗어나갈 수 있어요.
( http://cbe.snu.ac.kr/index.php?mid=Vision) 이건 화학생물공학부의 진로 통계자료고, 여학생의 경우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같은 대기업 생물 관련 연구소 쪽도 복리후생 및 급여 수준에서 인기가 많아요. 그리고 우리 학부 대학원 랩 소개 페이지에 있는 각각 교수님의 홈페이지에 가면(랩 이름을 클릭!) 동문들을 소개한 메뉴들을 볼 수 있는데, 어디에 취업하였는지 등등도 나와있으니 그것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http://cbe.snu.ac.kr/index.php?mid=Processing (랩 소개 페이지)
지금 제가 있는 박태현교수님의 연구실의 졸업생 취업 분포를 링크로! 나머지 랩도 방문하셔서 확인해봐요.
http://biotech.snu.ac.kr/index2.asp (박태현 교수님 연구실 졸업생 취업 분포)
http://cbe.snu.ac.kr/index.php?document_srl=95835 여기도 참고!
그리고 약학전문대학원을 가고 싶을때도 우리과가 공대에서 가장 유리해요. 의전은 2017년에 폐지되니까 차치하고 ㅠㅠ
마지막으로 화학생물공학부 소개에 관한 기사 링크! http://eng.snu.ac.kr/introduce/brochure_list.php?code_value=SN010404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