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의 교육과정이 단순하게 엔지니어의 양성에만 집중되어 있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전공 기술분야의 전문가인 엔지니어를 키우면서 사회, 경제적인 지식과 내일을 바라보는
폭넓은식견을 갖게 하여, 우리 사회의 내일을 이끌어갈 지도자로 키우는 것이
서울대 공대가 추구하는 목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생홍보기자단 <공대상상> 조선해양공학과 1학년 백지원입니다. 공대상상에 관심 가져주어서 감사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참고사항으로만 생각해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고등학교 때 진학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면, 전공 적합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꼭 물리를 이수해야 하는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물리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학교도 있을 수 있고, 전공 적합성 이외에도 서울대학교에서는 다양한 기준으로 지원자들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학생의 환경에서 수강할 수 있는 과목 위주로, 꼭 물리가 아니어도 좋으니 열정을 갖고 노력해서 발전하는 역량을 보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말씀하신 산업공학과의 경우에는, 공과대학 학과 중에서도 물리와의 연계성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꼭 물리가 아니어도 수학 등 다른 과목에 충분히 투자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제2외국어 역시 학생의 능력이 부각되는 부분의 하나일 수 있겠지만, 외국어 구사능력만이 중요한 지표는 아닙니다.
고등학교 때 진학하고자 하는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면, 전공 적합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꼭 물리를 이수해야 하는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물리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학교도 있을 수 있고, 전공 적합성 이외에도 서울대학교에서는 다양한 기준으로 지원자들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학생의 환경에서 수강할 수 있는 과목 위주로, 꼭 물리가 아니어도 좋으니 열정을 갖고 노력해서 발전하는 역량을 보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말씀하신 산업공학과의 경우에는, 공과대학 학과 중에서도 물리와의 연계성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꼭 물리가 아니어도 수학 등 다른 과목에 충분히 투자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제2외국어 역시 학생의 능력이 부각되는 부분의 하나일 수 있겠지만, 외국어 구사능력만이 중요한 지표는 아닙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